설명
23년 12월 중국 헤지펀드 회사 환팡퀀트(幻方量化)소속 인공지능 연구팀이 창업한 회사. 창업자 량원평
개발진에 따르면 개발비용 560만달러로 오픈AI의 chatGPT의 50억 달러의 1/100 수준
딥시크 R1은 오픈AI o1보다 벤치마크 성능에서 앞섰을 뿐만 아니라, 오픈소스기반 개방형 모델
또한 미 정부의 최신 AI칩 규제를 뚫고 구형 엔비디아 H800칩으로 만들어낸 모델이라 더욱 주목
단 중국기업인 만큼 민감한 공산당관련 질문이나 개인정보 수집문제가 있음
시세
25년 1월 31일 월
GRT > 엠케이전자 > 피델릭스 > 플리토 순서대로 4종목 상한가
뉴스
'딥시크 충격'에 나스닥 선물 5% 급락…엔비디아, 개장 전 11%↓ 25년 1월 27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271941i
트럼프 “中 AI 딥시크 개발, 美기업에 경종 울려야"(종합) 25년 1월 28일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649846642042312&mediaCodeNo=257
‘딥시크 돌풍’에 던져진 우려…“개인정보 싸그리 수집, 알고 써야” 25년 1월 28일
https://www.khan.co.kr/article/202501281502001
딥시크를 인터뷰했더니... "미국이 75% 확률로 2년 내 제재할 것" 25년 1월 28일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1/28/IQG4RAZD3BEJ5D5KGHFLRJIKXU/
관련주 반도체
GRT★
- 중국 최대의 AI서버 제조업체인 인스퍼인포메이션 (inspur, 낭조정보)에 납품
- 중국 AI인프라는 거의 대부분 인스퍼와 직간접 연관되어 있어 딥시크 역시 연관 가능성 높음 (확실 X)
- 딥시크 개발사 창립 첫 해인 2023년에는 정부의 ‘동수서산’ 프로젝트를 수주 > 동수서산 프로젝트에 인스퍼는 핵심적인 역
GRT, AI 서버업체 낭조정보 향 수주 확보…“AI 성장 수혜 기대” 24년 4월 4일
https://www.asiae.co.kr/article/2024040410173199886
25년 1월 31일 상한가
엠케이전자★
엠케이전자, 中시장 중심 중고 반도체 장비 사업 강화 25년 1월 17일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214006642038704&mediaCodeNo=257
미국 ai 반도체 제재로 중국 내 중고 반도체 및 저사양반도체 장비 사업 기대감
25년 1월 31일 상한가
피델릭스★ (032580)
- 피델릭스 최대주주는 중국기업인 동심반도체유한공사 (Dosilicon Co Ltd) (30.48% 보유)
- 동심반도체유한공사는 중국 최대 반도체 생산업체(파운더리) SMIC(중신궈지)과 전략적 제휴관계
- SMIC은 오랫동안 화웨이로부터 위탁받아 생산/납품 함
- Deepseek R1은 훈련은 Nvdia H800을, 추론은 화웨이 ascend 910c 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짐
즉 피델릭스 > 동심반도체 > 중신궈지(SMIC) > 화웨이 > 딥시크로 연결
피델릭스, 中정부 부양책에 대주주 SMIC 부각… 전략적 제휴 관심 24년 10월 7일
https://www.fnnews.com/news/202410071344305891
타이밍 좋게 들어오는 수혈... 화웨이·SMIC ‘계속 돌격’ 24년 5월 8일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56024
화웨이의 7나노 AP와 어센드 910B는 모두 중국 파운드리 기업인 SMIC가 7나노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으로 파악
DeepSeek R1 is using Huawei Ascend AI chip: Report 25년 1월 29일
https://www.huaweicentral.com/deepseek-r1-is-using-huawei-ascend-ai-chip-report/
25년 1월 31일 상한가
엠케이전자★
엠케이전자, 中시장 중심 중고 반도체 장비 사업 강화 25년 1월 17일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214006642038704&mediaCodeNo=257
미국 ai 반도체 제재로 중국 내 중고 반도체 및 저사양반도체 장비 사업 기대감
25년 1월 31일 상한가
플리토★
중국 ‘딥시크’ 열풍에 국내 AI 관련주 급등 25년 2월 2일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143655
딥시크는 타오바오, 더우인(틱톡의 중국버전), 바이두 등을 통해 학습한 것으로 알려져 AI빅데이터 관련주들 급등
25년 1월 31일 상한가
칩스앤미디어
[특징주] 칩스앤미디어, 中 AI 굴기 수혜 전망에 상승세 25년 1월 31일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1272
칩스앤미디어는 반도체 설계자산(IP) 업체 비디오 IP 분야에 특화된 기업으로 AI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등 다양한 영역
"중국의 AI 투자 증가로 중국을 대상으로 한 매출이 늘고 있다"며 " 중국 내 팹리스 증가 및 중국 자체 AI SoC 개발 수요 증가 영향"
서플러스글로벌
[특징주]서플러스글로벌, 中 사상최대 ‘반도체장비’ 투자…전세계 반도체 레거시 장비 1위 부각 24년 10월 15일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2177926639053248&mediaCodeNo=257
서플러스글로벌은 전세계 1000여개 레거시 반도체 장비 업체 중에서 점유율 1위
이카이글로벌 매체에 따르면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중국이 향후 3년간 반도체 제조 장비 투자에만 1000억달러를 넘길 것으로 예상
관련주 중국기업들
딥시크를 인터뷰했더니... "미국이 75% 확률로 2년 내 제재할 것" 25년 1월 28일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1/28/IQG4RAZD3BEJ5D5KGHFLRJIKXU/
“웨이신(중국판 카카오톡), 타오바오(알리바바 전자상거래 플랫폼), 더우인(틱톡의 중국 전용 버전) 등 중국 플랫폼의 14억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
딥시크는 “(바이두가 개발한 AI 훈련 플랫폼) ‘패들패들(Paddle Paddle)’과 ‘마인드스포어’ 등 중국산 AI 소프트웨어 플랫폼
창립 첫 해인 2023년에는 정부의 ‘동수서산’ 프로젝트를 수주
- 타오바오 관련주 : 아티스트유나이티드(구 와이더플래닛), 오픈베이스, 딥노이드, 투비소프트
- 더우인(틱톡) 관련주 : 모비데이즈, 플리토, 키다리스튜디오, FSN 등
- 바이두 관련주 : FSN, 아티스트유나이티드(구 와이더플래닛), 플리토, 소프트센, 핸디소프트 등
- 웨이신 관련주 : 추가 중
** 계속 추가됩니다. **